반응형

하이라이즈 신드롬(High-rise syndrome, 고소추락증후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메론커피입니다

고양이는 높은 곳에서 떨어져도 안전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물론 고양이의 발바닥에는 패드가 있으며

근육 자체가 개와는 다르게 훨씬 완충작용을 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안전하고 유연하게 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하이라이즈 신드롬이 발생하는 높이는

2층 높이 또는 그 이상이기 때문에

그정도의 높이에서는 아무리 유연한 고양이라 하더라도 다칠 수밖에 없습니다

작은 부주의로 인해 고양이가 다치거나 생명을 잃는 사고가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항상 고양이의 특성을 이해하고 주의해야 합니다


하이라이즈 신드롬

(High-rise syndrome, 고소추락증후군)

고양이가 높은 장소에서 갑자기 점프해서 뛰어내리는 현상으로

고양이가 호기심에 집중하다가 높은 곳에 있다는 사실을 잊고 뛰어내려서 다치는 현상입니다

특히 도시에 사는 어린 고양이에게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원인

"Curiosity kills the cat"

"호기심이 고양이를 죽일 수 있다"

고양이는 호기심이 매우 많지만 그 호기심 때문에 고양이가 위험해 지기도 합니다

보통 고양이는 높은 곳을 좋아하지만 좀처럼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호기심 많고 집중력이 높은 고양이는 움직이는 물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새, 벌레, 나뭇잎 등 움직이는 물체를 보고 호기심 때문에 뛰어내려서 낙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낙상

고양이 특유의 평형 감각과 충격 흡수구조로 인해

높은 곳에서 뛰어내려도 적절한 처치만 받는다면 생존가능성은 높습니다

그러나 충격이 온몸으로 전달되어 다리뿐만 아니라 내부 장기 기관에 큰 손상을 입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낙상시 나무가지 등에 걸려서 자세의 균형을 잃고 떨어지게 되면 크게 다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손상되는 부위는

갈비뼈 골절 등 가슴쪽을 제일 많이 다치며

뒷다리 골절, 얼굴쪽 안면부 손상을 많이 받으며

두개골 골절, 안구돌출 등 응급상황들이 많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고양이가 높은 곳에서 떨어진다면

바로 동물병원에 가서 x-ray촬영을 해야하며

갈비뼈 골절, 안면부 골절, 앞다리 골절, 대퇴골 골절 등

골절을 먼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으며

눈에 띄는 외상이 없더라도 반드시 동물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응급상황의 경우

고양이도 매우 흥분되어있거나

통증으로 인하여 보호자를 공격할 수도 있으므로

담요없이 맨손으로 잡거나 할 경우

크게 다칠수 있으므로 조심해야합니다


예방법

추락의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방묘창 설치

높은 곳을 좋아하고 창밖을 쳐다보는 것을 좋아하는 고양이의 성격상

창문에 안전장치가 없으면 추락위험성이 매우 높습니다

(옥상이라면 안전 가드를 설치하는게 좋습니다)


환기, 청소 시 고양이부터 챙기기

실내 환기나 청소할 때 창문을 열어두는 데

그때 열린 창문으로 뛰어내리는 경우도 있어

창문을 열어둘 때에는 반드시 고양이의 위치를 파악해야합니다

특히 청소 시에 청소기소리에 유난히 예민한 고양이는

깜짝 놀라면서 뛰어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안의 환경풍부화, 놀이풍부화를 적극 활용

고양이는 호기심 때문에 창밖의 벌레, 새 , 나뭇잎 등을 보다가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점프를 하는 것이기에

여러가지 장난감으로 놀아주거나

먹이 퍼즐 등으로 혼자서 갖고 놀게 하는 등

이런 것들을 좀 더 많이 배치하고 많이 놀아주어서

호기심이 밖이 아닌 집안에서 풍부하게 해준다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